본문 바로가기
사건

을사오적 간략한 소개

by 함성 2022. 10. 12.
반응형

을사늑약 체결

을사늑약은 우리나라를 보호국으로 한다는 명목 아래 1905년 11월 17일 일본이 군대를 이끌고 고종이 있던 경운궁 중명당에 쳐들어가 우리나라의 외교권을 박탈하고 서울에 통감부를 설치하는 내용의 보호조약에 날인할 것을 요구하였습니다.

이때 을사늑약에 대해 회의를 하던 대신 중 참정대신 한규설, 탁지부대신 민영기, 법부대신 이하영은 을사늑약에 반대하였으나 내부대신 이지용, 군부대신 이근택, 외부대신 박제순, 학부대신 이완용, 농상공부대신 권중현은 을사늑약에 찬성하였습니다. 

을사늑약에 서명할 것을 끝까지 거부하자 일본은 외부대신 박제순에게 직인을 가져오게 하여 조약에 날인하여 고종이 날인하지 않은 조약이 체결되었습니다.

 

을사오적

을사늑약에 찬성하며 우리나라 외교권을 박탈하도록 한 이 다섯 명을 을사오적이라고 합니다.

  • 학부대신 이완용
  • 내부대신 이지용
  • 군부대신 이근택
  • 외부대신 박제순
  • 농상공부대신 권중현

 

이완용

  • 을사오적 중 가장 유명한 우리민족의 반역자로 을사오적, 정미칠적, 경술국적 3가지 민족반역자에 모두 이름을 올린 매국노입니다.
  • 을사늑약 당시 학부대신으로  을사늑약에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 독립협회에 가입했었지만 친러파라는 이유로 제명당하고 이후 1904년 친일파로 전향하였습니다.
  • 창 씨 개명한 이름은 리노이에 칸요입니다.
  • 일본제국으로부터 후작의 작위를 받았습니다.

 

이근택

  • 을사오적 이근택은 군부대신으로 원래 이름은 이근용에서 이근택으로 이름을 바꾸었는데 1905년 을사늑약에 반대하던 법부대신 이하영 대신 법부대신을 역임하였는데 을사늑약에 적극 찬성하였습니다.
  • 나중 한일합방 이후 일본으로부터 훈 1등 자작 작위를 받았습니다.

 

이지용

  • 을사오적 이지용은 내부대신으로 있을때 을사늑약을 찬성한 매국노입니다.
  • 흥선대원군의 형인 흥인군의 손자로서 왕손임에도 매국노로 타락한 인물입니다.
  • 원래 이름은 이용구에서 이재경으로 다시 이은용으로 또다시 이지용으로 개명했습니다.
  • 1904년 2월에는 을사늑약(2차 한일협정서) 전 체결하였던 한일협정서에 일본 공사인 하야시 곤스케로부터 1만 엔을 받고 서명하였습니다.

 

박제순

  • 을사오적 박제순은 을사늑약 당시에 외부대신이었고 한일 강제 병합 때는 내무대신이었던 매국노입니다.
  • 대한제국에서 내각총리대신 겸 대리집정공을 지냈습니다.
  • 충청도 관찰사 시절 동학농민운동을 진압하는데 협력하였습니다.
  • 조선 후기 친청파로 활동하다가 이후 친일파로 전향하였습니다.

 

권중현

  • 을사오적 권중현은 농상공부대신으로 을사늑약에 찬성한 매국노입니다.
  • 아이러니하게도 임진왜란을 막아낸 권율 장군의 9대손 권홍섭과 이순신 9대손인 이덕수 사이에 태어나 일본의 앞잡이로 민족반역자가 되었습니다. 한마디로 아버지가 호랑이인데 반해 아들은 개를 뜻하는 호부견자의 표본입니다.
  • 개화파 정치인에서 친일파로 전향하였습니다.

 

 

 

반응형

댓글